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206

Oat cookie 오트 쿠키 간단한 베이킹 영상 안녕하세요 빵굽는당무입니다 :) 제가 일하면서 간단한 영상으로 만들어 보았어요.:) 재밌게 봐주세요~ 베이킹영상 2021. 10. 12.
5가지 신비하고 놀라운 베이킹의 비밀들을 알고 싶나요? 안녕하세요 빵굽는당무입니다 :) 여러분 그거 아세요? 요리나 베이킹을 할 때나 여러분은 마술을 항상 키친에서 하고 있는 거라는 걸요. 신기하게도 우리는 이미 그게 익숙해져 버려서 무덤덤하게 요리를 하고 베이킹을 하고 있는 건지는 모르겠지만, 그 와중에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재료들이 화학적 작용을 여러분의 손놀림으로 인해 생기고 있는 거예요. 네에, 맞아요 모든 성분에는 어떤 화학적 작용이 일어나요. 예를 들어 베이킹 소다나 이스트(효모균)를 넣으면 빵이 부풀어 오르는 걸 도와준다던지 등 이게 정확한 값이라는 게 있더라고요. 그리고 올바른 순서도 있고요. 같은 재료를 섞어도 어떤 걸 먼저 같이 섞느냐에 따라 또 달라져요. 그 값이 모자라거나 비율로 쟀을 때 넘쳐나면 빵에 비교를 하자면 훅 부풀어 오르다 꺼.. 베이킹 지식, 지혜, 정보 2021. 10. 11.
모든 이들이 사랑하는 마카롱의 정체(France- Macaron) 안녕하세요 빵굽는 당무입니다.:) 오늘 포스트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는 달달함의 극치 마카롱을 소개하려 해요:) 프랑스뿐만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이 사랑하는 스위트 한 그들이죠? 우선 간단하게 마카롱에 대해 소개를 하자면, 계란 흰자와 설탕 그리고 식용 색소, 아몬드 가루로 만든 머랭 과자이죠~ 오 지금 생각하니 글루텐 프리네요. 아랍 군대는 827년 시칠리아를 점령하는 동안 새로운 기술(제지)과 레몬, 쌀, 피스타치오와 같은 음식을 가져왔는데, Lausinaj - 내부에 달콤한 아몬드 크림이 있는 구운 식품. 이 달콤한 페이스트리는 페르시아의 사산조 샤(Sassanid Shahs)에 의해 전해졌으며, 그곳에서 조로아스터교 새해를 축하하기 위해 아몬드 케이크를 만들었다고 해요. 시칠리아에서 fālūd.. 베이킹 이야기(나라별) 2021. 10. 10.
퀴퀴한 냄새가 나는 밀가루를 사용할 수 있을까? 안녕하세요 빵굽는당무입니다 :) 오늘은 밀가루에 대해서 다뤄 볼까 하는 데요. 어떻게 밀가루가 시간 지남에 따라 변하는지, 올바른 보관법 그 외 이야기를 나눠보아요. 우선 보통 밀가루를 전을 붙이거나 한두 번 베이킹하고 나서 그냥 방치하게 되죠. 그러고 나서는 한동안 쓸 일이 거의 없어지게 되죠? 그러다 보면 시간이 지나서 거의 잊히게 되는 현상이 일어나죠. 그러다가 음~ 오늘은 베이킹이나 해볼 까?라는 생각과 함께 꺼내보는데... 너무 오래돼서 퀴퀴한 냄새가 난 적 있으신가요? 그럴 때는 쓰지 않기를 추천드려요! 무언가 냄새가 난다는 건 문제 생겼다는 뜻이죠? 거기다 더 심해지면 색도 변색이 되고 기름이 끼게 되죠. 그런 밀가루로 빵을 구워버리면 그 불쾌한 냄새와 맛을 머금은 채로 결국, 그 빵은 정말.. 베이킹 지식, 지혜, 정보 2021. 10. 6.
에클레어 궁전 여기는 프랑스(France- Eˊclair) 안녕하세요 빵굽는당무입니다. :) 이번 포스트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제과 중 하나 에클레어에 대해서 알아볼까 해요. 에클레어는 슈 반죽에 크림을 채우고 초콜릿 아이싱을 얹은 페이스트리예요. 한국에 슈크림 많이 팔죠~? 그 반죽과 동일해요 제가 여기 학교에서 슈크림(프로피테롤)이랑 에클레어 같이 만든 기억이 나네요. 짤주머니를 이용해서 길쭉하게 짜내어서 구워내죠. 식힌 후에 바닐라 초콜릿, 커스터드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속을 채워내죠. 이런 맛있는 디저트 에클레어는 19세기 프랑스에서 "pain à la Duchesse" 또는 "petite duchesse"로 1850년까지 불려졌대요. 이 단어는 1860년대에 영어와 프랑스어로 처음 증명되었어요. 일부 음식 역사가들은 에클레어가 유명한 프랑스 셰프인 Ant.. 베이킹 이야기(나라별) 2021. 10. 4.
반응형